환절기 거칠어지기 쉬운 피부를 예방하는데 있어 파프리카가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파프리카는 비타민 A와 C가 풍부하여 피부노화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겨우내 잃어버린 가족들의 입맛을 되찾는데 가장 적격이라고 평가받고 있는데요. 농식품부에서는 3월의 원예농산물로 파프리카를 추전, 소비를 장려하고 나섰습니다.
파프리카는 예쁜 색감 만큼이나 비타민, 철분, 칼슘 등 몸에 좋은 영양소가 풍부하고, 다른 채소에 비해 당도가 높으면서도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아주 좋으며 암과 비염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파프리카 속 비타민 C는 토마토의 5배, 레몬의 2배로 피부 진피층의 콜라겐 합성을 도와줍니다. 피부 탄력과 수분유지에 도움을 줘 피부를 하얗고 깨끗하게 만들어줍니다. 비타민 A도 풍부하여 피부의 각질을 줄이고 건성화를 막아주며, 열에도 쉽게 파괴되지 않고 기름에 조리할 경우 지용성인 비타민 A의 흡수를 돕는다고 합니다.
파프리카는 꼭지가 싱싱하고 표피가 두꺼우며 광택이 나고 표면이 단단해야 신선하고 맛이 있는데요. 신선한 파프리카를 10~12°C, 상대습도 90~95%의 저온?다습한 장소에 보관하면 보다 오랫동안 싱싱한 상태에서 먹을 수 있습니다.
파프리카란 이름은 희랍어로 유럽에서는 모든 고추를 통칭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매운 맛이 없는 bell type의 고추(단고추)를 파프리카라 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불어인 piment를 따라 피망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1994년 제동흥산(주)이 항공기 기내식용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주도에서 처음 재배를 시작하였는데요. 초기에는 국내 소비가 없어 생산량의 대부분을 수출하게 되었으나, 최근들어 내수시장이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 파프리카 재배면적은 약 450ha, 연간 생산량은 4만톤 수준이며, 유리온실 보급확대로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생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생산량의 40%이상이 수출되고 있으며, 일본시장에서 네덜란드를 제치고 수입량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수출 효자 품목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피로를 이겨내는 음식 (0) | 2012.03.07 |
---|---|
'아토피' 자녀를 둔 엄마의 대처법 (0) | 2012.03.05 |
부족한 우리 아이 건강, 충분한 과일?채소가 필요해요! (0) | 2012.03.02 |
내 몸에 맞는 건강기능식품을 고르자! (0) | 2012.03.01 |
칼슘섭취, 꼭 우유로만 해야 돼? (0) | 2012.02.19 |